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프로야구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야구로그
- ADT캡스플레이
- 이대호
- 2012년프로야구
- 야구
- 롯데
- 야구기록
- 캡스플레이
- 롯데불펜
- 한화이글스
- 엘지트윈스
- 강민호
- 스포츠
- 카스포인트
- 이슈
- 기아타이거즈
- 야구블로그
- 삼성라이온즈
- 평범과비범사이
- 카스포인트라인업
- 롯데자이언츠
- 카스포인트랭킹
- 손아섭
- ADT캡스
- 한국프로야구
- 2013년프로야구
- 2016년프로야구
- 2015년프로야구
- Today
- 21
- Total
- 5,300,711
목록자이언츠칼럼 (770)
야구로그
https://youtu.be/D625Nx6Vuy0 단 한시즌만에 팀내 입지가 불안해진 선수들을 알아봤습니다. 1군에서 자리 잡기가 어려워진 선수들. 그들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1982년생의 이대호는 이제 베테랑 중에 베테랑으로 나이로 인한 에이징 커브를 비껴나기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하지만 최근 3년간 1루수로서의 수비 이닝을 줄이는 등 해법을 찾고 있는데요. 2020년 이대호가 에이징 커브의 영향을 어느정도나 받을까요? https://youtu.be/JmB47nuXi1Y 이대호의 에이징커브 극복!
새로운 둥지에서 시작해보려 합니다.그간 많은 고민에 고민을 했습니다만 결정을 내렸습니다. 앞으로 야구 글은 http://huck15.blog.me/에 올립니다.번거로우시겠지만 많이 찾아와 주시기 바랍니다. ^^
야구에서 감독이 팀 승리에 차지하는 지분은 얼마나 될까? 100년이 넘는 메이저리그에서는 162경기 기준 최대 5승 정도의 가치를 가지는 것이 감독의 역량이라고 한다. 메이저리그에서의 감독은 경기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서 승리를 쟁취하는 역할보다 선수들을 관리하고 전체 선수단 운영을 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기본적으로 야구는 선수들이 하는 것 때문이 아닐까? 감독의 역량이 팀의 전력에 크게 좌지우지된다고 믿는(?) 한국프로야구에서는 마치 야구를 하는 것은 선수가 아닌 감독인 것 처럼 믿는 이들이 많다. 뛰어난 전략과 전술을 펼치면서 선수들을 적재적소에 활용하면서 승리를 쟁취하는 감독에 대한 로망이 있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중요한 것은 감독이 아무리 뛰어나다고 한들 이를 평가할 수 있는 객관..
유망주들의 무덤이라는 롯데에서 야잘잘이 아니고 말그대로 유망주로 입단해서 숙성기를 거친 후 스타로 거듭난 선수를 꼽으라면 타자쪽에서는 이대호(2001년 2차 1라운드), 강민호(2004년 2차 3라운드), 가까이는 전준우(2008년 2차 2라운드)가 있겠고 투수쪽에서는 장원준이 대표적인 선수다.(2004년 1차) 이대호는 2004년 20홈런을 치면서 거포본능을 깨우치기 전까지 3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했다.(2001~2003년 134경기 415타석) 강민호도 2007년 14홈런을 치면서 대형 포수로서의 자질을 인정받기 전까지 3년이 걸렸다.(2004~2006년 233경기 629타석), 마지막으로 전준우는 어땠을까? 앞의 두 선배에 비해서 한시즌이 덜 필요했었다. 2010년 19홈런을 기록하며 주전으로 발돋움..
롯데팬이라면 이해하기 어려운 표는 아니다. 주전과 백업들에 대한 일람표로 성적은 2016년 8월 30일을 기준으로 했다. 노란색으로 표시한 것은 포지션별 리그평균 OPS에 미달하는 포지션으로 롯데의 야수들의 현실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고 생각한다. 리그 평균 OPS에 미치지 못하는 포지션별 주전들의 성적도 문제지만 이보다 더 큰 문제는 부진한 주전들을 밀어낼, 아니 그럴 가능성을 보이고 있는 어린 선수들을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이다. 차근차근 보자. 이번 시즌 새롭게 주전 1루수로 도약한 김상호지만 장타력에 있어서는 갈증을 느낄 수 밖에 없다. 하지만 현재 롯데에서 김상호를 위협할만한 타자는 당연히 없다. 당장 김상호가 아니라면 다시 박종윤이 대안이 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박종윤이라는 선수에게 ..
박시영의 이름이 이렇게 오랫동안 1군에 남아 있고 회자될 것이라고는 팬들은 물론 본인도 몰랐을 것이다. 역대급 타고투저 시즌이라는 올해 1군에서 28경기에 출장, 42이닝을 던지는 동안 2승 2패 5.57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면서 불펜은 물론 선발로도 뛰면서 전천후로 활용되고 있는 중인 (2016년 8월 23일은 프로데뷔 이후 첫 선발 승을 거두기도 했다. 5이닝 3실점) 박시영에 대해 살펴보자. 1989년생으로 올해 27살이지만 이번 시즌 전까지 1군 경험이라고는 2010년시즌 2경기 2이닝이 전부였을 정도로 팀내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 입단 당시만 해도 제물포고 출신으로 볼의 스피드가 인상적이지는 않지만 제구력과 경기운영에서 높은 점수를 받으며 지역내에서 1차 지명감으로 언급되기도 했던 기대치를..
*총평 현재 롯데의 현실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다. 야잘잘 스타일의 선수가 부족하고 내야뎁스는 얇디얇은 상태다. 반면 투수쪽에서는 좌완 우완 가리지 않고 최근 1~2년간 어린 투수들이 연거푸 1군에 연착륙하고 있는 상황으로 2017년 롯데는 확실하게 야수 보강이라는 컨셉으로 나섰고 야잘잘 스타일 나종덕을 시작으로 2라운드와 5라운드에서 고졸 유격수 김민수와 홍지훈을 8라운드에서는 3루수 이재욱을 선택했다. 투수자원이 아닌 너무 야수에 의존한 것이 아니냐라는 평가도 있지만 현재 롯데의 전력, 유망주 상황등을 고려할 때 이보다 좋은 선택을 하기는 힘들었을 것이다. 1라운드 : 나종덕 지난해 좌완 투수 몰빵이라는 컨셉을 보여줬던 롯데가 이번에는 야수몰빵이라는 컨셉을 밀고 나갔다. 2017년 2차 신인지명회의에서..
두산 4.46NC 4.66넥센 4.75SK 4.84기아 5.04LG 5.29롯데 5.65삼성 5.67한화 5.76kt 5.97 2016년 리그 평균 평균자책점은 5.21이며 롯데의 팀 평균자책점은 5.65로 리그 7위다. 아래는 롯데 팀내 평균자책점 6점 이하 선수들이다. (20이닝 이상 8월 18일 스탯티즈 기준)1위 이정민 46경기 3승 2패 1세이브 3홀드 51.2이닝 3.482위 윤길현 44경기 6승 3패 12홀드 47.1이닝 3.803위 손승락 36경기 4승 2패 14세이브 38.1이닝 3.994위 레일리 23경기 6승 8패 141.2이닝 4.195위 박세웅 20경기 7승 9패 106이닝 5.266위 홍성민 38경기 1패 4홀드 29이닝 5.287위 김유영 34경기 1패 1세이브 2홀드 30.1..
메이저리그 오클랜드 어틀레틱스의 단장 빌리빈이라는 사람이 전세계 야구팬들에게 알려진 이유는 이른바 머니볼로 불린 야구를 바라보는 새로운 야구관 때문이다. 머니볼이라는 것은 메이저리그에서도 대표적으로 돈없는 구단인 오클랜드 어틀레틱스가 누구도 주목하지 않은 스탯에 주목해서 선수를 선발하고 그에 맞는 전략을 이용해서 좋은 결과를 얻어낸다고 요약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누구도 주목하지 않은 스탯 중 대표적인 것이 타자의 출루율이다. 머니볼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타자라면 타율이 높아야 한다는 전통적인 평가방법이 주를 이뤘으나 안타를 잘치는 타자는 몸값이 비싸고 영입하기 위한 댓가도 크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이른바 빅마켓 팀이 아닌 이상에야 이런 선수들을 영입할 수 없다. 그러나 안타는 많이 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