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롯데 좌완불펜의 지각변동(구)한국프로야구칼럼 2016. 8. 8. 13:51
강영식 : 24경기 11.2이닝 2패 5홀드 5.40이명우 : 43경기 32이닝(선발9.2이닝) 2승 2패 6홀드 9.28김유영 : 29경기 27.2이닝 1패 1세이브 2홀드 5.86 오랜기간 롯데의 좌완불펜 듀오로 활약했던 강영식과 이명우가 어느덧 35살과 34살이 되면서 경기력 자체도 크게 하락하고 있는 중이다. 강영식은 부상으로 6월 15일 2군에 내려간 후 2달여간 복귀 소식이 들리지 않고 있으며 이명우는 1군에 머물고는 있지만 평균자책점이 10에 가까울 정도로 부진에 부진을 거듭하고 있는 중이다. 그나마 2014년 1차지명으로 입단한 김유영이 강영식, 이명우의 부진을 틈타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 다행인 상황으로 김유영마저 없었다면 롯데의 좌완불펜은 전멸했을 것이다. 이번시즌 포함 지난 3..
-
여전히 회전수의 숙제를 풀지 못한 손승락(구)한국프로야구칼럼 2016. 8. 5. 17:13
레전드 닷컴에서 제공하는 이번 시즌 구원투수의 구속 BEST4다. (http://www.legend2i.com/tracker/pitch.aspx) 구속만 놓고 보면 손승락이 리그에서 4번째로 빠른 구원 투수라는 것이고 이는 상대를 윽박지를 수 있는 무기가 될 수 있지 않나 싶은데 회전수 카테고리를 보면서 허걱했다. 다른 선수들에 비해 너무나 낮은 회전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미 필자는 지난 글에서(http://yagulog.tistory.com/2473) 손승락의 회전수 문제를 거론했는데 2015년 초속이 143.41km, 초당회전수는 29.89였던 것에서 2016년에는 초속이 143.14km로 구속의 차이는 거의 없었지만 초당 회전수는 개선되기는 커녕 오히려 줄고 말았다.(29.89->21.45) ..
-
롯데가 허비하고 있는 강민호의 전성기(구)한국프로야구칼럼 2016. 8. 4. 16:25
리그에서 유일하게 주전포수 의존도가 80%가 넘는 팀은 롯데다. 전체 수비이닝중에 80%이상을 강민호가 책임졌다는 이야기다. 포수 의존도 리그 최하위권인 LG(40.1% 9위)의 유강남보다 두배가 넘는 수비이닝을 강민호가 책임졌는데 포수는 모두가 아다시피 엄청난 체력 소모를 수반하는 포지션으로 많은 이닝의 소화는 많은 관절의 소모와 일맥 상통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포수로서의 선수생명과도 직결되는 부분으로 대부분의 포수들의 전성기가 다른 야수들에 비해 짧은 30대 초중반에 형성된다는 것은 이를 증명한다. (물론 박경완, 진갑용의 예, 조인성의 예에서 보듯 마흔가까이도 뛸 수 있다고는 하지만 이들의 전성기 또한 길게 잡아서 30대 중반이었다.) 1985년생의 강민호에게서 이젠 베테랑의 냄새가 진하게 풍기..
-
게라리를 다시한번, 정훈(구)야구로그아카이브 2016. 8. 4. 09:10
타율 0.269홈런 0타점 38출루율 0.368장타율 0.340OPS 0.708 정훈은 리그에서 4번째로 많은 349타석에 들어섰다. 그러나 100타석 이상 들어선 14명의 2루수들 중 타율이 11위에 그쳤으며 OPS는 10위, 홈런은 단 한개도 기록하고 있지 못하다. 부족한 수비를 타격에서 커버해온 선수가 그것도 KBO역사상 세손가락 안에 드는 타고투저 시즌이라는 2016년 시즌에 이정도의 공격력밖에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히 문제가 있어 보인다. (원툴 플레이어의 설움이라고나 할까? 공격력으로 먹고 사는 선수가 공격이 되지 않으니 공격능력에 가려져 있던 수비력, 주루능력에 대한 부족함이 도드라져 보이게 된 것이다.) 2014년 시즌 0.294-3홈런-58타점-출루율 0.386-장타율 0.39..
-
김동한은 누구?(구)한국프로야구칼럼 2016. 7. 26. 13:15
롯데가 노경은-고원준의 트레이드에 이어 다시한번 두산과 트레이드를 시행했다. 대상은 롯데의 불펜 투수 김성배와 두산의 내야수 김동한으로 두산으로서는 서서히 붕괴조짐이 보이고 있는 불펜 강화의 목적, 롯데는 내야뎁스의 보강이라는 서로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다. 2차드래프트로 롯데로 이적한 후 이번시즌까지 총 5년간을 부산에서 뛰면서 첫 2년에는 꿀성배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완벽한 불펜투수로 활약을 해줬던 그였지만 이 2년간에 쏟은 에너지가 너무 컸었는지 이후 3년간은 계속 뒷걸음질 쳤고 이번시즌에도 2군에 있는 시간이 더 길었을 정도로 롯데에서의 입지는 상당히 줄어든 상황이었다. 김동한의 경우는 대졸 내야수로 2011년 2차 8라운드에 뽑힐 정도로 인상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를 받지는 못했..
-
병살타와 수비력(구)한국프로야구칼럼 2016. 7. 21. 09:27
야구는 총 27개의 아웃카운트를 잡아내야 끝나는 스포츠로 시간제한이 없다. 1개의 아웃카운트를 잡는데 1시간이 걸릴수도 있고 1초도 걸리지 않을수도 있는 것이다. 공격측에서는 최소의 아웃카운트 소비를 하면서 공격시간을 길게 가져가는 것이 좋은 반면 수비측에서는 최소의 힘과 시간을 들여 최대의 아웃카운트를 잡아내는 것이 목적인 스포츠라고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수비측에서는 플레이 하나로 복수의 아웃카운트를 잡아낼 수 있는 병살타를 적절한 타이밍에 만들어낸다면 이보다 더 효율적인 수비전략이 없을 것이다. 1경기에서 1개의 병살타가 나왔을 때 최소 2개의 아웃카운트를 잡아낼 수 있고 이는 아웃카운트당 투수들이 던지는 5개 내외의 투구수를 절약하는 것은 물론 수비시간도 줄이는 효과까지 얻게 된다. (상..
-
후반기 첫 기아와의 3연전, 여기가 승부처다.(구)야구로그아카이브 2016. 7. 18. 14:46
2016년 시즌 전반기에 총 9번의 맞대결에서 2승 7패로 절대적으로 약한 모습을 보였던 기아와 홈에서 3연전을 치른다. (롯데는 39승 43패로 승패마진이 -4로 기아와의 상대전적에서 발생한 -5의 승패마진이 고스란히 팀 성적에 반영된 것) 롯데에 한경기차로 뒤지고 있는 6위 기아를 홈으로 불러들인 이번 3연전에서 롯데는 최소 위닝시리즈를 거둬야 상대전적의 밸런스는 물론이거니와 5위 수성에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지난 9번의 맞대결을 차근차근 살펴보자. 9경기동안 52득점을 하는 동안 무려 75실점을 하면서 팀 평균자책점이 7.93에 달했다. 기아를 만나서 롯데 투수들이 처참하게 무너진 것이 절대적 열세의 원인이다. 9경기에서 득실차가 -23점이면 타자들의 빈공, 뭐 이런거를 지적할 수준이 아니..
-
롯데불펜의 좌우놀이는 성공적?(구)한국프로야구칼럼 2016. 7. 15. 14:03
야구에서 전통적인 불펜운영의 원칙은 좌우놀이다. 우타자가 나오면 우투수를(기왕이면 언더핸드나 사이드암) 좌타자가 나오면 좌투수를 내는 식말이다. 물론 세이버매트릭스가 전파되고 발전하면서 현장에서도 좌우놀이를 신봉하지 않는 팀들도 생겼지만 여전히 좌우놀이는 리그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불펜운영의 대원칙으로 롯데의 조원우 감독도 좌우놀이를 하고 있다. 2016년 상반기까지 롯데에서 좌완불펜으로 나선 선수는 총 4명으로 (이명우, 강영식, 김유영, 차재용) 경기 중후반 상대의 좌타자를 상대하기 위해 마운드에 올랐는데 과연 목적을 잘 달성했을까? 좌타자 상대 성적(타율/OPS)이명우 0.332/1.004강영식 0.300/0.829김유영 0.226/0.645차재용 0.200/0.629 우타자 상대 성적(타율/OPS..